Sep 26, 2017

돌아봄

내가 현재 사는 10층 아파트 창문에 담기는 풍경은 지극히 평범하다. 창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앞/옆 아파트의 단면들, 그 위로 빼꼼 - 창문의 윗부분을 차지하는 하늘 한 조각. 보이지는 않지만 짐작컨데 아파트 주변으로는 출근하는 이들과 아파트의 경비원들이 땅을 누비고 있을 테고 하늘을 보니 그들의 머리 위로는 곧 빗방울이 떨어질 것만 같다. 9월의 마지막 수요일 아침의 하늘은 우중충하다.

매일 내 시야에 담기는 풍경을 탐색하듯 다른 누군가는 나의 존재를 늘 탐색중이라는 사실을 떠올려 본다. 여기에 대한 확신이 있는 이유는 나는 내게 향한 그 시선들을 늘 예민하게 인지하고 있고 그것의 실체들을 나의 뇌가 끈질기게 재추적하고 재탐색하기 때문이다. 아니, 탐닉한다. 오랫동안 체화해온 이 탐색-탐닉의 습은 내게서는 떼어낼 수 없는 살과도 같다. 단순히 ‘눈치’ 혹은 ‘착한 콤플렉스’라고 스스로 진단을 내려보았던 적도 있으나 총체적인 '나의 현상'을 설명해 내기에는 무언가 턱없는 부족함이 느껴진다. 난 마치 스스로를 증명하기 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거의 기계적으로 또 반사적으로 타인의 거울에 자신을 늘 비추어 본다. 타인이 어떤 존재인지가 물론 중요하다. 내가 관심을 두는 존재들은 물론 나보다 권력을 가진 이들이다 – 사회적 및 정치적 권력과도 맞물려 있겠지만 나는 직관적으로는 미적 혹은 지적 권력에 반응한다. 그 타자와 나 사이의 이질감이 크면 클수록 나는 거기에 매력을 느끼고 이 관성적 매력은 나로 하여금 또 다시 순응하게 만든다. 나는 타인의 거울 앞에 선 채 타인이 나의 육신에 빙의되었다고 믿으며 그 순간만은 최선을 다해 타인처럼 사고하고 행동한다. 그래서 그 타인이 나를 인정할 때, 그 타인이 나의 머리를 쓰다듬어줄 때 나는 살아있다고 생각한다. 거울이 사라지면 나는 무기력함을 느끼곤 한다. 스스로 일어나보려 하지만 반사적으로 살아온 내적 사고와 습관과 생각들은 그 생기를 스스로 부여하기 어렵다. 이제는 나의 깊은 바라봄이 필요한 나의 일상화된 사고와 행동의 패턴이다.

‘최선을 다하는 딸, 다재다능한 친구, 속깊은아이, 어른의 말을 잘 듣는 청소년’의 이미지는 중학교 때 나를 정의하던 수식어들. 난 이렇게 되기 위해 얼마나 부단히 노력했고 이 이미지들을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척을 하고 가장을 해왔던가? 유학을 가서는 ‘무시할 수 없는 동양인’ ‘영어가 뒤지지 않는 동양인’ ‘두루두루 잘하는 대학생’ ‘미국인이 되기에 충분한 동양인’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고 또한 이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스스로 지랄맞은 적응고문을 가해왔던가? 생애 전체에 걸쳐 난 타인의 거울 앞에서 나의 이미지를 규정지어왔음을 알았을 때 존재의 공허함에 허무함에 정체성에 표백제를 뿌렸다. 레이스가 나풀거리는 여성스러운 옷들을 쓰레기통으로, 16년의 소유물이었던 전공자용 플룻은 헐값에 팔아넘기고, 그 어떤 면에서도 나를 감동시키지 못한 백인 남자교수들로 꽉 차있던 대학원은 중퇴해 버렸으며 숯이 많고 풍성한 머리카락을 싹둑 자르고 깨끗이 밀었다. 나는 바보스럽게도 이렇게 하면 정체성이 지우개로 지워질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이제는 고작 몇 번의 표백 따위로 나의 탐색-탐닉의 관습이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걸 안다. 지금 돌아보면 나의 극단적인 행위들은 바보스러웠을지언정 직관적이었고 진솔하게 감성적이었으며 분노표출의 유일한 방법이었다. 여름이 가을로 거듭나는 환절기를 맞으며 나는 나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거울에 비춰지는 내 모습 따위는 환영이라는 걸 나는 죽을 때까지 학습해야 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