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l 26, 2017

대추리 견학


대추리에 다녀오다

세 번 잃었다고 한다.
1943년 일제강점기 때 한 번.
1952년 한국 전쟁 때 또 한 번 (K-6.캠프 험프리스)
2006년 미군기지 확장에 의해 (국방부의 행정대집행) 다시 한 번.
캠프 험프리스가 완성되면 아시아에서 가장 큰 군사기지가 평택에 탄생하게 된다.

늘 그렇듯 공권력의 강압과 폭력은 서민들의 삶을 갈아 뒤엎었다.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150가구는 우왕자왕 흩어졌고
지금은 노와리에 예전 대추리 44가구가 마을을 조성하여 살아가고있다.

2006년 5월 4일.
사방에서, 땅에서 하늘에서, 이들을 진압하던 국방부는
미군기지의 확장을 보장하기 위해 목숨이라도 건 듯 했다.
하루만에 삶이 아스라졌다.
대추 초등학교는 붕괴되었고
30대의 트랙터가 볍씨를 뿌려놓은 땅은 뒤엎어졌으며
많은 이들이 부상을 당했지만 인파는 고립되어있었다.

모든 걸 걸고 대항했지만 힘없고 돈없고 권력이 없었던 서민들은
3년의 격렬한 투쟁 끝에 결국 수용하였다.
행정상 '대추리'라는 이름을 사용한다는 조건 하에 땅을 내어주는 걸로.
(그러나 이 또한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이들의 권리를 내어주었지만 결코 존엄을 상실하지는 않았다.
보상금으로 새로운 터를 마련하였다.
그들은 농사를 더이상 지을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고향 땅에서 눈을 감고자 하는 소망을 이루고자
긴 세월동안 서로 맞잡았던 이웃의 양 손을 놓지 않고자
이를 악물고 버텼다.
버티고 나니 마침내 일상은 다시 되돌아 온 듯 했다.

현재 대추리에는 대추리 역사관이 있고 평화센터가 있다.
역사관에서는 방문객들이 대추리의 아픈 역사를 느껴볼 수 있다.
한신대 학생들이 농기구 창고에 솔부엉이 그림을 그려주어 역사관으로 변신했는데
이장님 말로는 흔하디 흔하던 그 솔부엉이가 이제는 대추리 마스코트가 되었단다.

대추리 역사관에 들어가면
압도적으로 거대한 트랙터 동상이 눈에 띈다.
각종 농기구, 확성기, 테레비전, 음향기기, 마이크를 몸에 걸친 트랙터 동상의 완성은
꼭대기에 '평화'라고 붓글씨가 쓰여진 깃발이다.
마치 삐걱삐걱대며 움직일 것 같기도 한 이 거대한 몸덩이는
투쟁의 살아있는 기억저장소다.

예전에 대추리 옆 마을 도두리는 갯벌 옆이었단다.
미름챙이라는 1급수에서 사는 생물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었는데
이제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되었다고 보는게 맞다고 한다.

갯벌에 흘러드는 바닷물을 굳이 막아가며
군사기지를 확장시킨 것도 모자라
땅에 묻힌 오일탱크에서 새어나오는 기름은 평택의 하천으로 흘러든다.
한 때 1급수를 자랑하던 평택의 안청선은
캠프 험프리스의 기름이 둥둥 떠다니는 6급수가 되었다.

총 150가구 중 군사기지확장을 찬성하던 이들 중에는
안정리 (군사기지 바로 밖의 마을) 에서 미군들을 상대로
장사를 해 쏠쏠한 재미를 본 사람들도 있다.

지금은 폐허처럼 썰렁해 진 이 마을에는
50가구의 사람들이 모여살지만
안정리와 대추리의 사람들은 서로를 대면하지 않는다.
대면할 일이 없을 뿐더러 남처럼 사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마을에는 평화가 찾아온 듯 하지만
평화는 아직 찾아오지 않았다.
미군기지와의 대립이 끝난 듯 하지만
미군은 꺾일 줄 모르는 우월함의 구름에 휩싸여
평택의 사람들이 보이지 않을 뿐이다.

위로만 조급하게 자라날 줄 아는 군사주의 자본주위 따위에 꺾일 소냐
대추리의 땅은 땅에서 살아가는 생명들이 버티는 한 살아있다.

-------------------------------------------------------------------------

이런 곳을 방문할 때면 늘 나를 압도적으로 휩싸는 무시무시한 수치심과 자책감이 이상하게도 오늘은 거의 없었다. 편안하게 대해주셔서 그랬던 걸까? 나는 이장님의 이야기에 완전 푹... 빠져들었다. 삭혀낸 설움은 아름다운 노래처럼 들렸다. 마음의 상처는 왜 쉽게 아물지 않는걸까 .

Jul 13, 2017

habitual gaze

There is nothing special about the landscape that fits the window frame of my house, which sits on the 10th floor of a mini condo. Neighboring mini condos are juxtaposed side by side, touching the sky that seems so tiny in the framed landscape. Without looking out, I conjure up a typical morning scene around these buildings. People are busily walking amidst guards, who salute them off to work. Above everyone lies the sky that I am now gazing, from which some rain drops might fall at any moment. The sky of the last Wednesday morning of September is in the blue.

I habitually contemplate the landscape that passes through my eyes. Likewise, I believe that I am gazed by others, who contemplate their own landscape through which I habitually enter and exit. I am sensitive about these looks of others, and I trace them over and over again until I find satisfying answers. Tracing the gaze that falls on me is like an internalized ritual, which now I perform even without intending or being conscious of it. At one point, I wondered if I was good at this because I was born with overt sensitivity and burning desire to be a “kind” person who lives up to other people’s expectations. Although this might carry some truth, it utterly fails to explain the whole phenomena of who I am and how I am. My behaviors of mirroring myself in front of the gaze of the other are so automatic and mechanic that I am not that willful about this. I subconsciously prioritize certain looks over other looks based on power relations like social and political; but most intuitively, I am a person that reacts to people with more aesthetic or intellectual powers. The more exotic the quality of the other feels, the more I feel motivated; I let myself explore the newness of the other like an adventurer in the wilderness. I take pleasure in embodying everything about the person, even in ways of expressing emotions. When my relentless effort gets recognized by the other, who expresses great admiration for the similitude I enact, I own a sense of vitality. When the other, the object of my mirroring, disappears, my consciousness collapses. I try to stand up with my two feet, but my body-spirit is tamed to the reflexive habit from the past. Feeling helpless in revitalizing myself alone, I am coming to terms with the pattern of my normalized behavior that deserves a deep level of conscious observation.

When I was in the middle school, I was seen by others as a kind daughter, well-rounded friend, mature kid, and a student who knows how to behave. I also believed that I was full of these, so I never sidetracked. Once I arrived in the States, the shrewd sixteen-year-old me noticed that the American gaze worked in a quite different context. So I created new versions of myself like an Asian who speaks an impressive level of English, an Asian who blends well in American society, an Asian woman who is smart enough for both casual and intellectual conversations, and a well-rounded college student. Countless times, I trained myself to stand in front of the gaze of the other, whom I emulated one after another until I embodied the other near-to-perfect. Perhaps, none of these would’ve been any issue if I had adapted to different identities in process of enriching my secure identity. The problem was that I did not have a secure identity yet; before having my own, I learned to personify the other. By my seventh year in the States, I felt miserable and utterly confused amongst my multiple identities, which had no sense of gravity in reality.

When I noticed the pattern of my mirroring, I wanted to disown them. In hope of bleaching my void feeling, I trashed all girl-looking clothes, sold my 16-year-old flute at half-price, and withdrew from my graduate school, which was infiltrated by white and male professors, who failed to impress me in any respect. I cut my hairs and eventually shaved my head. My bald head seemed appropriate in claiming my determination to transform. I believed in erasing my identities by giving up privileges. But privileges were mere conditions. Just by ridding of conditions, I did not become free.

Now I got this. I learned that bleaching would not ultimately change anything. However, I also know that as foolishly adamant as I had been years ago, my actions, charged with anger and sadness, were intuitive ways of speaking out my inexplicably depressed feelings for the deprived dignity. In the midst of the transition from summer to fall, I contemplate on the idea of speaking in 'my' voice. Like in the novel Fugitive Visions by Jaen Jeong Trenka, I may have to learn again and yet again that what I see in the mirror is nothing but a fugitive vision.